한눈에 보는 한국사 역대 왕 계보
①환국에서 단군조선까지
*환단고기와 삼국사기, 삼국유사, 교과서 기준
[환국 왕 계보(7대 환인 3301년)] *환단고기 기준
환인(桓仁) | |
1세 | 안파견환인(安巴堅) |
2세 | 혁서환인(赫胥) |
3세 | 고시리환인(古是利) |
4세 | 주우양환인(朱于襄) |
5세 | 석제임환인(釋提壬) |
6세 | 구을리환인(邱乙利) |
7세 | 지위리환인(智爲利) |
①
환국은 7분의 환인이 3301년 동안 다스렸다고 합니다. 이게 가능할까요?
한 분이 자그마치 500년 가까이는 통치하셔야 된다는 말인데요,
환단고기에서는 그 때는 장수시대였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나라 이름도 광명의 나라, 환국(환国)이라고 했듯이 대자연과 하나 되어 살았던 때라고 합니다.
지금처럼 피 터지게 경쟁하고 사는 것하고는 전혀 다르다는 거죠.
장수시대가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동양의학의 고전인 『황제내경』 에서는 옛 사람들은 백 세가 넘도록 건강하게 살았다고 하고,
구약에 등장하는 아브라함도 175세를 살았으니까요.
지금 우리의 모습을 보고 상고시대를 단순히 예단해서는 안되겠습니다.
[배달 왕 계보(18대 환웅 1565년)] *환단고기 기준
환웅(桓雄) | 재위 · 수명 | |
1세 | 환웅천황(桓雄天皇), 거발환환웅(居發桓) | 재위 94년, 수명 120세 |
2세 | 거불리환웅(居佛理) | 재위 86년, 수명 102세 |
3세 | 우야고환웅(右耶古) | 재위 99년, 수명 135세 |
4세 | 모사라환웅(慕士羅) | 재위 107년, 수명 129세 |
5세 | 태우의환웅(太虞儀) | 재위 93년, 수명 115세 |
6세 | 다의발환웅(多儀發) | 재위 98년, 수명 110세 |
7세 | 거련환웅(居連) | 재위 81년, 수명 140세 |
8세 | 안부련한웅(安夫連) | 재위 73년, 수명 94세 |
9세 | 양운환웅(養雲) | 재위 96년, 수명 139세 |
10세 | 갈고환웅(葛古) | 재위 100년, 수명 125세 |
11세 |
거야발환웅(居耶發) | 재위 92년, 수명 149세 |
12세 | 주무신환웅(州武愼) | 재위 105년, 수명 123세 |
13세 | 사와라환웅(斯瓦羅) | 재위 67년, 수명 100세 |
14세 | 자오지환웅(慈烏支), 치우천왕(蚩尤天王) | 재위 109년, 수명 151세 |
15세 | 치액특환웅(蚩額特) | 재위 89년, 수명 118세 |
16세 | 축다리환웅(祝多利) | 재위 56년, 수명 99세 |
17세 | 혁다세환웅(赫多世) | 재위 72년, 수명 97세 |
18세 | 거불단환웅(居弗檀) | 재위 48년, 수명 82세 |
위의 역대 환웅들의 수명을 보면 환국의 환인들과 비교해서는 많이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으나
그래도 요즘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장수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말기의 세 분 환웅은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죠.
나라가 말기로 가면 혼란스러워 지고 통치하기도 그만큼 어려워지니까 고심도 많았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배달국에는 오늘날까지 우리에게 알려진 인물이 있는데요, 바로 14세 자오지환웅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치우천황이라고 부르죠.
중국의 사서에도 등장하는 치우천황은 고구려의 광개토대왕 같은 분입니다.
2002년 월드컵 때 붉은 악마의 마스코트가 바로 치우천황을 상징화 한 것입니다.
[단군조선 왕 계보(47대 2096년)] *환단고기 기준
단군(檀君) | 재위 | |
1세 | 단군왕검(檀君王儉) | 재위 93년, 수명 130세 |
2세 | 부루단군(扶婁) | 재위 58년 |
3세 | 가륵단군(嘉勒) | 재위 45년 |
4세 | 오사구단군(烏斯丘) | 재위 38년 |
5세 | 구을단군(丘乙) | 재위 16년 |
6세 | 달문단군(達門) | 재위 36년 |
7세 | 한율단군(翰栗) | 재위 54년 |
8세 | 우서한단군(于西翰) | 재위 8년 |
9세 | 아술단군(阿述) | 재위 35년 |
10세 | 노을단군(魯乙) | 재위 59년 |
11세 | 도해단군(道奚) | 재위 57년 |
12세 | 아한단군(阿漢) | 재위 52년 |
13세 | 흘달단군(屹達) | 재위 61년 |
14세 | 고불단군(古弗) | 재위 60년 |
15세 | 대음단군(代音) | 재위 51년 |
16세 | 위나단군(尉那) | 재위 58년 |
17세 | 여을단군(余乙) | 재위 68년 |
18세 | 동엄단군(冬奄) | 재위 49년 |
19세 | 구모소단군(緱牟蘇) | 재위 55년 |
20세 | 고홀단군(固忽) | 재위 43년 |
21세 | 소태단군(蘇台) | 재위 52년 |
22세 | 색불루단군(索弗婁) | 재위 48년 |
23세 | 아홀단군(阿忽) | 재위 76년 |
24세 | 연나단군(延那) | 재위 11년 |
25세 | 솔나단군(率那) | 재위 88년 |
26세 | 추로단군(鄒魯) | 재위 65년 |
27세 | 두밀단군(豆密) | 재위 26년 |
28세 | 해모단군(奚牟) | 재위 28년 |
29세 | 마휴단군(摩休) | 재위 34년 |
30세 | 내휴단군(奈休) | 재위 35년 |
31세 | 등올단군(登屼) | 재위 25년 |
32세 | 추밀단군(鄒密) | 재위 30년 |
33세 | 감물단군(甘勿) | 재위 24년 |
34세 | 오루문단군(奧婁門) | 재위 23년 |
35세 | 사벌단군(沙伐) | 재위 68년 |
36세 | 매륵단군(買勒) | 재위 58년 |
37세 | 마물단군(麻勿) | 재위 56년 |
38세 | 다물단군(多勿) | 재위 45년 |
39세 | 두홀단군(豆忽) | 재위 36년 |
40세 | 달음단군(達音) | 재위 18년 |
41세 | 음차단군(音次) | 재위 20년 |
42세 | 을우지단군(乙于支) | 재위 10년 |
43세 | 물리단군(勿理) | 재위 36년 |
44세 | 구물단군(丘勿) | 재위 29년 |
45세 | 여루단군(余婁) | 재위 55년 |
46세 | 보을단군(普乙) | 재위 46년 |
47세 | 고열가단군(古列加) | 재위 58년 |
이제 세 번째 왕조인 단군조선에 오면 배달국보다 더 재위 년도가 짧아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재위 년도가 10년도 넘지 않는 단군도 있을 정도이죠.
단군(檀君)은 제사장과 통치자를 포함하고 있는 호칭입니다.
그래서 단군은 제사장이면서 통치자였습니다.
이것은 환국의 환인, 배달국의 환웅도 마찬가지겠죠.
재위 년도가 많이 짧아 진 것을 보면 정치적인 상황이 과거보다는 복잡해지고
갈등의 요소들이 많아졌다고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마한의 왕 계보(36대)] *환단고기 기준
왕명 | 왕명 | ||
1세 | 웅백다(熊伯多) | 19세 | 아라사(阿羅斯) |
2세 | 노덕리(盧德利) | 20세 | 여원흥(黎元興) |
3세 | 불여래(弗如來) | 21세 | 아실(阿實) |
4세 | 두라문(杜羅門) | 22세 | 아도(阿闍) |
5세 | 을불리(乙弗利) | 23세 | 아화지(阿火只) |
6세 | 근우지(近于支) | 24세 | 아사지(阿斯智) |
7세 | 을우지(乙于支) | 25세 | 아리손(阿里遜) |
8세 | 궁호(弓戶) | 26세 | 소이(所伊) |
9세 | 막연(莫延) | 27세 | 사우(斯虞) |
10세 | 아화(阿火) | 28세 | 궁홀(弓忽) |
11세 | 사리(沙里) | 29세 | 동기(東杞) |
12세 | 아리(阿里) | 30세 | 다도(多都) |
13세 | 갈지(曷智) | 31세 | 사라(斯羅) |
14세 | 을아(乙阿) | 32세 | 가섭라(迦葉羅) |
15세 | 두막해(豆莫奚) | 33세 | 가리(加利) |
16세 | 자오수(慈烏漱) | 34세 | 전내(典奈) |
17세 | 독로(瀆盧) | 35세 | 진을례(進乙禮) |
18세 | 아루(阿婁) | 36세 | 맹남(孟男) |
[번한의 왕 계보(74대)] *환단고기 기준
왕명 | 왕명 | ||
1세 | 치두남(蚩頭男) | 38세 | 마휴 |
2세 | 낭야(琅耶) | 39세 | 등나 |
3세 | 물길(勿吉) | 40세 | 해수 |
4세 | 애친 | 41세 | 오문루 |
5세 | 도무 | 42세 | 누사 |
6세 | 호갑 | 43세 | 이벌 |
7세 | 오라 | 44세 | 아륵 |
8세 | 이조 | 45세 | 마휴 |
9세 | 거세 | 46세 | 다두 |
10세 | 자오사 | 47세 | 내이 |
11세 | 산신 | 48세 | 차음 |
12세 | 계전 | 49세 | 불리 |
13세 | 백전 | 50세 | 여을 |
14세 | 중전 | 51세 | 엄루 |
15세 | 소전 | 52세 | 감위 |
16세 | 사엄 | 53세 | 술리 |
17세 | 서한 | 54세 | 아갑 |
18세 | 물가 | 55세 | 고태 |
19세 | 막진 | 56세 | 소태이 |
20세 | 진단 | 57세 | 마건 |
21세 | 감정 | 58세 | 천한 |
22세 | 소밀 | 59세 | 노물 |
23세 | 사두막 | 60세 | 도을 |
24세 | 갑비 | 61세 | 술휴 |
25세 | 오립누 | 62세 | 사양 |
26세 | 서시 | 63세 | 지한 |
27세 | 안시 | 64세 | 인한 |
28세 | 해모라 | 65세 | 서울 |
29세 | 소정 | 66세 | 가색 |
30세 | 서우여 | 67세 | 해인 |
31세 | 아락 | 68세 | 수한 |
32세 | 솔귀 | 69세 | 기후(箕詡) |
33세 | 임나 | 70세 | 기욱(箕煜) |
34세 | 노단 | 71세 | 기석(箕釋) |
35세 | 마밀 | 72세 | 기윤(箕潤) |
36세 | 모불 | 73세 | 기비(箕丕) |
37세 | 을나 | 74세 | 기준(箕準) |
『환단고기』 「태백일사」에는 단군의 계보 뿐만 아니라
단군조선의 양쪽 날개인 마한과 번한의 왕계보도 실려 있습니다.
이것은 단군조선을 삼한관경제로 다스렸기 때문인데요.
무슨 말인고 하면, 나라를 셋으로 나누어서 중앙인 진한은 단군이 직접 다스리고,
양쪽 날개인 마한과 번한은 부단군인 왕이 다스렸습니다.
이것은 단재 신채호 선생도 인정한 사실입니다. 삼한은 나중에 삼조선으로 이름이 바뀌게 되죠.
단군조선은 47세 고열가 단군이 제위를 떠나면서 문을 닫게 되고(BCE238),
북부여로 대권이 넘어 갔지만 한동안 번조선은 남아 있습니다.
번조선의 마지막 왕은 기준(箕準) 즉, 우리가 알고 있는 준왕이죠.
번조선은 BCE194년 연나라 노관의 부장인 위만에게 멸망당하고 맙니다.
교과서에서 고조선을 말하며 준왕을 고조선의 마지막 왕으로 서술하고 있지만,
준왕은 번조선의 왕이지 단군이 아닙니다.